글로벌 투자은행 #나티시스 (Natixis)는 최근 은퇴 후 살기 좋은 나라 44개국 순위를 발표했습니다.
나티시스가 발표한 #세계은퇴지수 2019 (The Global Retirement Index, GRI) 에 따르면, 한국은 24위에 올랐으며 아시아에서는 일본(23위)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.
한국은 재무 평가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삶의 질 지표에서는 매우 낮은 평가를 기록했습니다.
나티시스는 매년 44개 주요국을 대상으로 건강 (Health), 재무 (Finance), 삶의 질 (Quality of Life), 복지 (Wellbeing) 와 같은 네 가지 부문을 나누어 평가해 종합 순위를 발표합니다.
상위권 국가들을 살펴보면 #아이슬란드 가 4개 평가 항목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어 1위를 기록하였고 2위는 스위스, 3위는 노르웨이가 차지했습니다.
주로 유럽권 국가들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하위는 인도(44위), 브라질(43위), 콜롬비아(42위)를 차지했습니다.
상위권 국가들의 공통점은 주로 건강 및 삶의 질 지수가 높은 편이며, 하위권 국가들은 건강, 삶의 질, 웰빙 지수가 굉장히 낮은 수치를 보여줍니다.
참고로 은퇴 지수의 네 가지 평가 지표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해냅니다.
1. 건강 지수 (Health Index) : #월드뱅크 (World Bank) 가 발표하는 국가별 평균 수명 지수 와 1인당 국민 소득 중 건강 지출 내역을 가지고 산출
2. 재무 지수 (Finance Index) : 금융 기관 내구력 지수 (폭력, 부패도, 질서, 영향령 등), 국가 투자 환경 지수, 노령 인구 의존도, 부동산 지수, 세금 영향도 지수 등
3. 삶의 질 지수 (Quality of Life Index) : 행복도 지수, 자연환경 지수, 대기오염 지수, 위생 지수 등
4. 복지 지수 (Wellbeing Index) : 1인당 구매력 지수 (PPP), 1인당 평균 소득 및 지니계수, 실업률 계수를 가지고 산출
각 지표별 상위 / 하위권 국가들을 알아보면,
건강 지수 에서는 룩셈부르크가 1위 일본이 2위를기록했습니다.
재무 지수 에서는 뉴질랜드와 싱가포르가 1위를 기록했습니다.
삶의 질 지수에서는 덴마크가 1위 핀란드 2위 를 기록했습니다.
복지 지수에서는 아이슬랜드가 1위 노르웨이가 2위를 기록했습니다.
참고 지표들을 열거해보니 살기 좋은 나라 지수를 순위 매기기에 이상적인 지수로 보여집니다. 특히 우리나라가 최하점을 기록한 삶의 질 지수는 현 실태를 잘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.
(Natixis) 참고 자료 : https://www.im.natixis.com/us/resources/global-retirement-index-2019-report
비트코인 무한채굴 #해쉬마트(HASHMART) 리뷰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살기 좋은 나라 1위 아이슬란드, 국가별 TOP 10 (0) | 2019.09.30 |
---|---|
싱가포르 부자 순위 : 싱가폴 억만장자 TOP 10 (0) | 2019.09.29 |
송선미 남편 사주받은 괴한에 의해 청부살해 (0) | 2017.10.26 |
댓글을 달아 주세요